과정소개

  • CLASS I

    Interest, Important (2개월)

  • 01

    호흡과 발성 및 신체훈련

  • 02

    집중력 훈련

  • 03

    즉흥연기

  • 목표 : 배우에게 필요한 기본기를 훈련한다

  • 대상 : 비전공자 및 타 학원 6개월 미만 이수자

  • CLASS O

    Objective (2개월)

  • 01

    대본분석 훈련

  • 02

    상황응용 훈련

  • 03

    표현력 확장 훈련

  • 목표 : 장면연기에 필요한 필수 요소를 이해한다.

  • 대상 : 전공자 혹은 타학원 6개월 이상 이수자

  • CLASS K

    Keep Going (2개월)

  • 01

    인물 구축

  • 02

    장면 만들기

  • 03

    PLAY/촬영

  • 목표 : 매력적인 캐릭터가 담긴 영상 프로필을 제작한다.

  • 대상 : 전공자 및 경력자

  • CLASS A

    Actors (2개월)

  • 01

    오디션 수업

  • 목표 : 작품활동을 통해 경력을 만들어 간다.

  • 대상 : 경력자이며 테스트 합격자

반 개설, 승급 및 반 배정 안내

  • 강사의 특징과 장점을 살려 등급에 맞는 커리큘럼을 기획하고 강의를 개설한다.
  • 반 배정은 매니저와 교육진의 테스트를 통해 배정된다.
  • 승급은 수업목표 이수자를 선별하여 담당강사의 추천으로 승급한다.
  • 미이수자는 같은 등급 다른 커리큘럼 수업에 배정된다.
  • 원생이 요구하는 강사의 수업에 우선 배정한다.

강의시간표

주1회 CLASS
평일반(월~금)
19:00 ~ 22:00
주1회 CLASS
주말반(토, 일)
10:00 ~ 13:00 14:30 ~ 17:30

커리큘럼

이보미 - 하이틴
커리큘럼 : 1회차 [마음 열기 및 호흡의 이해]
- 호흡법 익히기

2회차 [호흡과 발성]
- 발성 훈련과 보이스 트레이닝

3회차 [비언어적 표현1]
- 비언어적 표현으로만 극 표현

4회차 [목적 훈련]
- 목적을 향한 행동, 의지, 목적의 강화를 통한 목적 훈련

5회차 [비언어적 표현2]
- 의미가 없는 언어로 한 장면 표현하기. 즉흥극 만들기

6회차 [전술 훈련]
- 상항극과 대사를 접목하여 전술의 다양성을 훈련

7회차 [신체의 7단계1]
- 신체로 감정을 표현하는 단계를 7단계로 나누어 감정에 따른 신체의 표현

8회차 [신체의 7단계2]
- 가상의 상황을 정하고 표현하는 훈련

9회차 [주위 집중 훈련 상대방 관찰하기]
- 방해 속에서 상대에 집중하기

10회차 [대본 분석 훈련]
- 대본에서 얻을 수 있는 사실적 정보만으로 대본을 분석, 대본 분석법을 익힌다

11회차 [상황1]
- 상황의 따른 표현과 감정의 변화를 익힌다.

12회차 [상황2]
- 정해진 상황을 강화하여 상황을 연기

13회차 [독백1]
- 혼자서 하는 연기의 모순을 이해하고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는 방법을 공부

14회차 [상황극 릴레이]
- 작은 극을 만들어 표현하고, 장소와 주제를 유동적으로 바꿔가며 작은 극 속에서 인물을 표현

15회차 [교감 훈련]
- 상대와의 교감을 통해 내 것 보다 상대의 표현을 읽고 반응하는 훈련

16회차 [인물 만들기]
- 인물의 성격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방법을 집중적으로 훈련

17회차 [독백2]
- 실제 상대와의 호흡을 통해, 가상의 상대와의 교감을 이해하고 표현

18회차 [듣기 훈련]
- 상대의 눈을 보고 상대의 감정을 읽는 훈련을 한다 / 대사의 틀 안에서 벗어나 상대에 말에 반응하는 훈련

19회차 [장면 정하기]
- 드라마, 영화, 연극 등 다양한 장면을 분석하고, 설정하여 실연할 장면을 정한다.

20회차 [장면 만들기1]
- 정해진 장면을 토대로 대본을 분석, 감정의 따른 동작선을 만들어 가며 장면을 만들어 간다.

21회차 [장면 만들기2]
- 장면의 이해를 토대로 인물과 인물과의 대화에서 인물이 진짜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깨닫고 그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.

22회차 [장면 만들기3]
- 장면 만들기1, 장면 만들기2에서 공부하고 훈련한 것들을 더 자세히 세분화 캐릭터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인물을 구체화 한다.